Skip to content
On this page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수리력의 비밀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수리력의 비밀

4, 8, 5, 3, 9, 7, 6. 이 숫자들을 유심히 살펴보고 입으로 소리내어 읽어보자. 이제 20초 동안 다른 곳을 쳐다보며 방금 외운 숫자를 기억해내 다시 큰소리로 말해보자. 영어권에 사는 사람들이 일곱 개의 숫자를 완벽하게 외워서 다시 말할 가능성은 50퍼센트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여러분이 중국인이라면 거의 확실하게 이 숫자를 다시 말할 수 있다.

왜 그럴까? 인간의 기억이 작동하는 최소단위는 2초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2초 안에 말하거나 읽을 수 있는 것은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영어와 달리 중국어에서는 앞서 말한 숫자, 즉 4, 8, 5, 3, 9, 7, 6을 언제나 2초 안에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일곱 개의 숫자를 20초 동안 기억해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스타니슬라스 데하네(Stanislas Dehaene)의 저서 <<넘버 센스(The Number Sense)>>에서 가져온 예시이다. 데하네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숫자를 읽을 때 쓰는 중국어의 단어는 매우 짧다. 대부분의 숫자 표현이 0.25초 안에 발음될 수 있을 정도다(가령 4는 '쓰'이고 7은 '치'이다.). 같은 의미를 지니는 영어 단어 'four'와 'seven'은 훨씬 길다. 이것을 발음하려면 0.33초 정도 걸린다. 영어와 중국어의 숫자 기억력 차이는 전적으로 발음 길이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웨일스어, 아랍어, 중국어, 영어, 히브리어 같은 다양한 언어를 살펴보면 해당 언어가 숫자를 발음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그 언어권의 사람들이 숫자를 기억하는 능력 사이에는 주목할만한 상관관계가 있다."

영어의 숫자체계는 매우 불규칙하지만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그들 나라의 숫자체계는 매우 논리적이다. 따라서 아시아 어린이들은 미국의 어린이들보다 숫자세는 법을 훨씬 빨리 배울 수 있다. 다섯 살짜리 미국 어린이는 같은 나이의 아시아 어린이에 비해 기초적인 수학 훈련에서 1년이나 뒤지게 된다. 숫자체계가 규칙적이라는 것은 아시아 어린이들이 덧셈 같은 기초적인 산술을 훨씬 더 쉽게 배울 수 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그것은 수학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의 차이로 나타난다. 아시아 인들이 수학을 잘하는 이유는 어떠한 내재적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즉 수학을 잘하는 것은 그가 속한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 말콤 글래드웰, 아웃라이어

Tags